티스토리 뷰
고정 너비가 있는 적응형 사이트
1. 처음 사이트 분석을 하면서 갑자기 혼동이 온 것 같다. 너비가 컨턴츠마다 제각각이다. 그래서 선생님 작업 영상을 보니 가장 대표적으로 많이 쓰인 너비를 기준으로 잡아주고 진행 하시는 걸 볼 수 있었다. 대표적으로 많이 쓰인 너비를 기준으로 잡고 본 컨텐츠 들어 갔을 때는 각각 너비를 재설정 해주는 형태일 듯 싶다.
2. 첫번째 혼동 했던 부분과 연장 선상에서의 문제 였는데, 본아이에프 최상단에 광고 배너가 있다. html을 쓰고 min-width를 잡고 width도 써주고 해야되는데, 어느곳에 각각 써줘야 하는지 잠시 헷갈렸던 부분이 있다. 근데 딱히 혼란스러워할 문제는 아니었던 것 같다. 그냥 top-bar를 감싸는 클래스 하나가 늘었을 뿐.
3. 주관적인 생각인데 아무리 적응형 사이트라고 해도 이렇게 컨텐츠마다 제각각 다른 너비를 가지는게 과연 좋을까? 이런 생각이 든다. 이 부분은 그냥 순전히 디자인 적인 관점에서의 문제만을 생각한 부분이다.(일관성이 좀 떨어져 보이지 않나...) 이런 부분을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다른 사람들과 같이 얘기를 나눠 본다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어느 정도 선까지는 괜찮을지, 안괜찮을지 그런 기준들? 개인적으로 시안을 잡았던 짧은 경험들을 생각해 봤을 때, 물론 하나의 고정 너비를 컨텐츠 마다 맞추는게 쉽진 않다. 어떤건 좀 더 컸으면 좋겠고 또 작았으면 좋겠고.. 또한 모두 같은 사이즈만을 고집한다면 사이트 전체적인 운율감이 떨어져 보이는 경향도 있긴 하다. 이것은 적응형 사이트의 장점이라고도 볼 수 있다.
'Work 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업일기] 본아이에프 클론 코딩 3 (0) | 2021.01.17 |
---|---|
[작업일기] 본아이에프 클론 코딩 2 (0) | 2021.01.14 |
[작업 일기] 이노테크 탑바 클론 코딩 완료 (+fullPage.js) (0) | 2021.01.10 |
[작업 일기] 이노테크 탑바 클론 코딩 2 (+fullPage.js) (0) | 2021.01.07 |
[작업 일기] 이노테크 탑바 클론 코딩 1 (+fullPage.js) (0) | 2021.01.06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피그마
- 레이아웃 정렬
- 피그마(figma)
- 웹
- 피그마(figma) 폰트 적용
- figma
- 플렉스 반응형
- 플렉스 박스(flex box)
- 프로토타입
- 디자인툴
- 피그마(figma) 로컬 폰트 적용
- 플렉스 반응형 그리드
- UI디자인
- 플렉스 박스(flex-box)
- 플렉서블 박스(flexible-box)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