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플렉스(flex box)를 이용한 플렉스 반응형 그리드 연습하기
기존에는 float 속성과 음수 마진을 이용해 반응형 그리드 작업을 해왔지만, 이번에는 새롭게 배운 flex 개념을 적용하여 작업을 해봤습니다. 플렉스 아이템(flex item)간의 간격을 마진(margin)으로 조정하고 나서 여백을 없애주는 작업이 float-음수마진 보다 좀 더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 확실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겠고 좀 더 다양한 플렉스 예제를 통해 적응하고 또 능숙해질 필요성을 느끼는 부분이네요.
See the Pen JjRKxPL by issue72y (@issue72y) on CodePen.
'Work 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업 일기] 한화솔루션 메뉴 클론 코딩 작업 (0) | 2021.01.04 |
---|---|
[작업 일기] jquery사용시 가상클래스(::after ::before) 선택 불가 (0) | 2021.01.03 |
[작업 일기] KAKAO AI 메뉴 클론 코딩 (0) | 2020.12.25 |
[작업 일기] 카카오뱅크 메뉴 클론 코딩(flex, jQuery 기초 개념 응용) (0) | 2020.12.20 |
[작업 일기] 플렉스 박스(flex box) - 카카오뱅크 메뉴 및 컨텐츠 클론 코딩 (0) | 2020.12.13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플렉스 박스(flex-box)
- 플렉스 반응형
- figma
- UI디자인
- 플렉스 박스(flex box)
- 피그마
- 피그마(figma) 폰트 적용
- 피그마(figma) 로컬 폰트 적용
- 프로토타입
- 피그마(figma)
- 웹
- 플렉서블 박스(flexible-box)
- 레이아웃 정렬
- 플렉스 반응형 그리드
- 디자인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